GPT킬러는 통계 모델을 활용해 문장이 AI가 작성했을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분석합니다. 

이 과정에서 글의 구조나 표현 방식이 AI가 만든 문장과 유사하게 나타나면, 사람이 작성한 문장이라도 탐지될 수 있습니다.

이는 생성형 AI를 이용해 교정(윤문) 번역을 진행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합니다.


특히 문장 패턴이 일정하고 형식적인 문서(논문, 보고서 등)는 이러한 현상이 더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 

따라서 해당 문서들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표절률을 참고하기를 권장합니다.


학교 또는 제출처에서 소명자료를 요청하는 경우, 아래 문서를 제출하시면 소명자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.
생성 AI를 통해 교정이나 번역을 요청한 프롬프트 내역
구글 독스(Google Docs)등 문서 편집기의 수정 이력


ChatGPT 프롬프트 공유 방법
1. ChatGPT 우측 상단 [공유하기] 버튼 클릭
2. 링크 복사 클릭
3. 생성된 링크를 제출처에 소명자료로 전달


Google Docs, Sheets, Slides, Google Vids의 문서에 적용된 변경사항 확인방법
구글 독스 편집기 고객센터 관련 게시물 바로가기 >



※ GPT킬러에 대해 궁금하신가요? GPT Killer 실험실에서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